최근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는데요.
저는 아주 귀여운 양을 투자하고 있습니다.
분할 매수하고 싶었지만 떨어지길 기다리다 계속 못 사고,
저처럼 이제는 정말 너무 올라서 못 사겠다고 생각하고 계신가요?
오늘은 비트코인 투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현재 비트코인 시세는?
2025년 2월 14일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약 97,847.10 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.
1년 전 대비 약 130% 상승했습니다.
특히 최근에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이후 큰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.
비트코인, 투자 방법과 전망 알아보겠습니다.
1. 직접 구매
거래소를 통한 구매
업비트, 빗썸 등 국내 거래소
바이낸스, 코인베이스 등 해외 거래소
장점: 직접 보유 가능, 24시간 거래 가능
단점: 해킹 위험, 보관 관리 필요
지갑(wallet)을 이용해서 보관, 관리를 추천드립니다.
2. 간접 투자
비트코인 ETF
장점: 주식처럼 쉽게 거래, 안전한 보관
단점: 수수료 발생, 거래소 영업시간에만 거래 가능
총 자산 보유가 크고 인기가 많은 대표적인 비트코인 현물 ETF 4종을 살펴보겠습니다.
1. iShares Bitcoin Trust (IBIT)
운용사: 블랙록(BlackRock)
특징: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출시한 ETF로 신뢰도가 높음
총 자산:55.80 빌리언
운용 보수: 0.25%
2. Grayscale Bitcoin Trust (GBTC)
운용사: 그레이스케일(Grayscale)
특징: 기존 비트코인 신탁(Trust) 상품이었던 GBTC가 ETF로 전환됨
총 자산:19.28 빌리언
운용 보수: 1.5%
3. Fidelity Wise Origin Bitcoin Trust (FBTC)
운용사: 피델리티(Fidelity)
특징: 피델리티의 강력한 네트워크와 신뢰도를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
총 자산:20.27 빌리언
운용 보수: 0.25%
4. ARK 21 Shares Bitcoin ETF (ARKB)
운용사: ARK Invest + 21Shares
특징: 캐시 우드의 ARK Invest가 참여한 ETF로 혁신적인 투자 전략 강조
총 자산:4.945 빌리언
운용 보수: 0.21%
비트코인 현물 ETF는 기존 비트코인 해킹의 위험과 관리를 직접 해야 하는 직접 투자보다
더 안전하고 규제된 환경에서 거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
3. 관련 주식에 투자
미국 최대 암호 화폐거래소인 코인베이스(COIN $274.31)나
세계에서 가장 많은 비트코인(약 2%)을 보유하고 있는
마이크로스트레티지(MSTR $337.73)등에 주식에 투자
장점: 주식시장을 통한 간편 거래
단점: 회사 경영 리스크 존재
비트코인의 향후 전망은?
긍정적 요인
ETF 승인으로 기관투자자 유입과 전통 금융기관들의 참여 증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희소성이 높다는 점 총 발행량 2,100만 개 제한
4년마다 채굴 보상 반감
결제 수단으로써의 활용도 증가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.
위험 요인들
나라마다 규제 정책에 따른 영향으로 변동이 클 가능성 높음,
해킹, 시스템 오류 가능성
지갑 분실 시 복구 불가능하다는 점,
대형 보유자들의 시장 동향, 거래량, 가격 조작 가능하다는 점,
적은 금액부터 시작하고 감당할 수 있는 금액만 투자하시고,
전체 자산의 5% 이내를 전문가들은 권장하고 있습니다.
단기 시세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장기적 관점 가지고 분할 매수를 고려해야 합니다.
⚠️ 투자 유의사항
투자는 원금 손실의 위험이 있습니다.
본 글에 포함된 정보는 투자 제안이나 권유가 아닌 정보공유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.
'미국 주식 코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쉽게 배우는 미국 주식 기술주에 투자하는 ETF VGT (0) | 2025.02.18 |
---|---|
쉽게 배우는 이더리움 전망 ETF 투자 (0) | 2025.02.17 |
쉬운 미국 주식 정보 S&P 500 대표 ETF VOO (2) | 2025.02.14 |
금 투자,얼마까지 오를까? 투자 방법,전망 (0) | 2025.02.13 |
미국 주식시장에서 가장 인기 있는 ETF 중 하나인 QQQ (2) | 2025.02.12 |
댓글